
- 기간: 2025. 02. 07 – 2025. 02. 27
- 장소: 스페이스 카다로그
- 주소: 서울 중구 수표로 58-1, 3층
- 시간: 화-금 13:00 – 19:00 / 토-일 13:00 – 18:00
스페이스 카다로그에서 열리는 《셸터 Shelter》 전시는 신체와 공간, 물질과 감각의 관계를 탐구하는 자리다. 기보경과 이연정 두 작가는 단순히 신체를 해부학적 대상으로 다루는 것이 아니라, 신체가 공간과 결합하며 확장되는 방식을 조형적으로 실험한다.
전시 공간은 작품을 담는 단순한 배경이 아니라, 작가의 몸을 연장한 또 다른 신체로 기능한다. 작가들은 자신의 작업을 통해 공간을 점유하고, 관람객은 그 안에서 자신 또한 전시의 일부가 되는 경험을 하게 된다. 하지만 전시는 본질적으로 일시적인 것이다. 작품이 설치되고 철수되는 과정 속에서 공간은 살아있는 유기체처럼 작동하다가, 결국 해체된다. 그리고 그 순간, 작품 역시 더 이상 머물 곳이 없는 떠도는 신체가 된다.
전시의 제목이기도 한 ‘셸터(Shelter)’는 단순한 보호 공간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것은 작가가 자신의 존재를 증명하는 장소이자, 결국에는 사라지는 임시적인 거처다. 전시는 마치 신체처럼 한순간 팽창했다가 다시 흩어지고, 예술가들은 계속해서 자신의 몸이 되어줄 공간을 찾아 떠돈다.

기보경: 뼈와 살, 존재와 부재 사이
기보경은 신체를 이루는 기본 구조, 뼈와 살의 관계를 조형적으로 탐구한다. 살은 부드럽고 유연하지만 쉽게 사라지는 속성을 지닌다. 반면, 뼈는 신체의 토대를 형성하는 강한 구조물이지만, 충격에 의해 쉽게 부서질 수도 있다. 작가는 이처럼 서로 다른 성질을 지닌 요소들이 상호작용하며 만들어내는 긴장감에 주목한다.
특히, 그는 뼈를 단순히 해부학적으로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가상의 구조를 창조하고, 그 안에서 새로운 의미를 발견하는 과정을 작업으로 풀어낸다. 인간은 자기 자신의 뼈를 직접 본 경험이 거의 없기 때문에, 낯선 형태의 뼈를 마주하면 자연스럽게 그 생명체의 모습을 상상하게 된다. 기보경의 작업은 이러한 상상과 현실의 경계를 넘나들며, 신체가 가진 근본적인 속성을 다시금 사유하게 만든다.
또한, 그의 회화에서는 의도적으로 매끈한 3D 렌더링 같은 표면 질감이 구현된다. 이는 현실과 가상, 실재와 상상의 영역을 오가는 작업 방식과 연결되며, 작품이 가진 강렬한 대비를 더욱 강조한다. 특히, 검정색(Bone Black) 안료를 활용한 작품은 실제 뼛가루를 태워 만든 안료에서 유래한 색을 사용함으로써, 가상의 뼈를 그리면서도 실제 뼈를 물질적으로 포함하는 역설적인 개념을 반영한다.
결국, 기보경의 작업은 살이 없는 뼈를 통해 오히려 살의 존재를 환기시키는 방식으로, 존재와 부재, 신체와 비신체의 경계를 탐구하는 실험이 된다. 마찰과 조화는 그가 작품을 완성하는 방식이며, 이를 통해 우리는 예측할 수 없는 감각적 경험을 하게 된다.

이연정: 감각의 흔적, 사라진 신체의 기억
이연정은 신체의 형태를 직접적으로 드러내기보다는, 몸이 남긴 흔적과 표면의 감각을 작업으로 풀어낸다. 그는 물질이 가진 시간성과 촉각적 특성을 연구하며, 신체와 물질의 관계를 새로운 방식으로 사유한다.
작가는 오래된 벽이나 문에서 남겨진 시간의 흔적, 즉 사람들이 지나간 자리, 손길이 닿았던 표면을 탐구한다.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문(門)’ 시리즈는 작가가 일상에서 마주한 낡고 해진 표면에서 출발한다. 벽에 남은 자국, 닳아버린 표면, 지나간 존재의 흔적들은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단서가 된다.
그는 이러한 표면을 단순히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이 축적된 감각을 회화적으로 구현한다. 흥미로운 점은 작가가 완벽한 표면을 동경하면서도, 역설적으로 일부러 거칠게 헤집어진 질감을 찾아나간다는 것이다. 이는 완전함을 추구하지만 결국은 결핍을 받아들이는 과정과 맞닿아 있으며, 이러한 감각적 경험이 그의 작업 속에서 나타난다.
작가는 신체를 직접적으로 묘사하지 않지만, 표면을 통해 피부와 같은 촉각적 경험을 은유한다. 회화가 단순히 시각적인 것이 아니라, 만지고 싶은 감각, 경험하고 싶은 물질의 표면이 될 수 있음을 탐구하는 것이다.


신체를 확장하는 공간, 공간을 점유하는 신체
이번 전시는 신체를 단순한 유기체로 보는 것이 아니라, 공간과 결합하여 확장되는 존재로 인식하는 데 중점을 둔다. 공간은 단순한 배경이 아니라, 작가의 신체가 연장된 또 다른 몸이다.
관람객은 작품을 바라보는 순간, 그 공간 안에 자신도 함께 존재하고 있음을 깨닫게 된다. 공간을 채우는 조형물과 회화, 그리고 그 사이를 흐르는 감각은 하나의 살아있는 유기체처럼 기능하며, 우리는 그 안에서 신체와 공간의 관계를 다시금 사유하게 된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은 일시적인 점유일 뿐이다. 전시가 끝나면 공간은 다시 비워지고, 작품들은 또 다른 공간을 찾아 떠나게 된다. 결국, 전시는 우리가 존재를 증명하는 순간이자, 동시에 사라짐을 받아들이는 과정이 된다.
셸터(Shelter), 그것은 예술가들이 머물렀다 떠나는 임시적인 장소이지만, 그 안에서 우리는 신체와 공간, 존재와 부재의 의미를 다시금 마주하게 된다.
기보경과 이연정이 펼쳐내는 신체와 공간, 감각과 존재의 탐구를 직접 경험해 보길 바란다.
자료 제공 이윤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