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제27회 서울세계무용축제

  • 일시: 2024. 09. 01 – 09. 14
  • 장소: 서강대학교 메리홀 대극장, 삼일로창고극장,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은평문화예술회관 공연장, 서울남산국악당
  • 후원: 서울특별시, 문화체육관광부, (재)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 협력: Institut Ramon Llull, 주한 캐나다대사관, 주한 이탈리아문화원, 은평문화재단, 서울남산국악당, 삼일로창고극장, ATER Fondazione, Trois C-L, Crossing the Sea, 서울문화재단 서울무용센터, 사단법인 무트댄스, 전문무용수지원센터

HIVE ⓒ Diana Ciufo

9월, 서울이 다시 한번 무용의 중심지로 탈바꿈한다. 제27회 서울세계무용축제가 9월 1일부터 14일까지 서울의 주요 공연장에서 열리며, 이번 축제에는 한국을 비롯한 9개국에서 온 무용단이 참여한다. 총 35편의 작품이 16건의 공연을 통해 무대에 오른다. 축제는 1)국제합작 2)해외초청 3)국내초청 4)기획제작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특히 올해는 현대무용을 처음 접하는 관객도 쉽게 즐길 수 있는 작품들로 가득하다. ‘무용은 어렵다’는 선입견을 깨고, 남녀노소 누구나 함께 즐길 수 있는 현대무용의 매력을 만끽할 수 있을 것이다.

BODY@Kendra Epik

이번 축제에서는 현대무용을 어렵게 느끼는 이들을 위해 접근성 높은 작품들이 선정되었다.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공연뿐 아니라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워크숍, 예술가와의 대화 등 다양한 부대행사도 마련됐다.

국제합작 프로그램 중 하나인 HBE 무용단의 <몸(BODY)>은 서강대학교 메리홀 대극장에서 개막작으로 상연된다. 이 작품은 언어의 장벽을 넘어, 신체 움직임을 통해 문화적 차이와 개인적 정서를 소통하는 과정을 그린다.

서울교방(김경란 예술감독)-논개별곡_Photo by 옥상훈

해외초청 프로그램에는 각국의 뛰어난 무용단이 참여한다. 독창적 안무극 <거대 구조(MEGASTRUCTURE)>는 음향 작곡 없이 무용수의 움직임만으로 음악성을 표현하는 독특한 작품이다. 환경 문제를 주제로 한 체코의 <섬!(The Island!)>, 삶의 변화를 탐구하는 <공간으로 이루어진(MADE OF SPACE)>도 기대를 모은다.

국내초청작 역시 다양하다. 고블린파티와 갬블러크루의 <동네북>은 전통과 현대를 결합한 작품으로, 한국 무용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5Edges/김형민의 <I dance the theater>는 극장의 정체성에 대해 질문하며, 소통의 장소로서 극장의 의미를 탐구한다.

I dance the theater ⓒ 5Edges

시댄스 투모로우(SIDance Tomorrow)는 신진 안무가들에게 창작실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무대다. 젊은 안무가들의 참신한 작품이 선보이며, 이들이 현대무용의 미래를 열어갈 것이다.

전통춤과 현대무용의 경계를 넘나드는 공연들도 눈길을 끈다. 서울남산국악당과 함께하는 ‘유파전 – 서울교방 <김경란류 권번춤 예맥: 반월(半月)>’과 ‘한국의 춤 – 영남무악(嶺南舞樂)’은 전통춤의 심오한 내면을 현대적으로 재구성해 관객에게 특별한 경험을 선사할 것이다.

영남무악 (김운태)

이번 축제는 현대무용을 처음 접하는 이들부터 매니아층까지 모두가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가득하다.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공연과 다양한 부대행사가 마련된 만큼, 이번 가을, 서울세계무용축제에서 현대무용의 매력을 마음껏 느껴보자.

축제의 모든 일정과 정보는 서울세계무용축제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티켓 예매는 인터파크와 아르코·대학로 예술극장, 서울남산국악당에서 가능하다. 이번 가을, 서울에서 만날 수 있는 현대무용의 향연에 많은 이들이 참여해 특별한 경험을 쌓길 바란다.

Artlamp
Artlamp

아트램프(ARTLAMP)는 예술을 통해 라이프스타일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는 아트 플랫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