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지_양승규
- Date: 2024. 11. 04 – 2024. 11. 16
- Place: 세종대학교 세종뮤지엄갤러리 3관
- Location: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로 209 세종대학교 광개토관 B1
- Hours: 10:00 – 18:00
- Contact: @honeseyejarchive

무게 / 이홍준

고 녀석 참 환기롭다. 사전에 등재되지 않은 단어 만드는 데 시간이 들었다기보단 언뜻 이거다 싶은 마음의 파동이다. 무심한 파동이지. 생각을 불러일으킬 만한 요소를 무진장 두르고 행한 기행이 수기로 빼곡하다. 내가 눈 둘 곳이 하나뿐인 정황을 정한 적 없다고 말해도 기껏해야 우수에 찬 호소일 뿐. 난 지금 섬에 있다. 여러 심정을 붙드는 꼴이 고백적이다. 고 녀석 가만 보면 의젓하기도 하다. 마음 없기로 유명한 대상의 상대가 되는 것. 지레 겁먹을 일은 아니어도 어째 당분간 무사태평은 허락되지 않은 것 같으니 마지막이랍시고 게을러 보기도, 쓸데없이 혀를 잠그기도 한다. 좌우지간 세계의 일부가 나임을 이리도 확실하게 인식하는 바다. 지천으로 널린 생활. 소문으로만 접한 바깥. 생계는 뜬눈과 인접한 까닭에 불시의 밤에도 내게 불어닥친다. 우리가 기껏 무너트린 앎이 저절로 일어섰다. 앞선 기립은 필히 우리에게 무언가를 주었을 터. 이로써 지금까지 질질 끈 대안적 파안은 한때의 기민한 기색을 잃고 이젠 펑퍼짐한 동화의 일부가 되었다.
가파른 언덕을 절반쯤 내려가 적당히 발밑에 자리 잡으면 눈앞에 보얀 야자수 군락이 보일지도 모른다. 자못 성실하다 싶게 우거진 광경에 두꺼운 손은 좁은 틈을 비집고 들어가는 투로 떨며 자신을 내저었다. 거칠고 때론 얄궂기까지 한 가능성 속에서 예의 광경은 앞선 휘두름에 빚진 상태로 흐른다. 이는 실제로 내 손끝을 스쳐 갔다. 강 복판에 솟은 바위를 지나가는 강물처럼.
사물을 무어라 명명하지 못했다. 각각의 존재가 서두를 것 없는 걸음으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끝없이 이동하고 있다. 이를 보고 있으면 직선에서 내려오지 못한 문장에 갇힌 것 같아 가슴팍에 양 무릎을 댔다. 불현듯 캄캄했던 어제가 밝아진다.

구석에 눈을 돌려야만(혹은 눈 둘 구석이 있어야만), 속이 편한 사내의 오후는 역시 나의 손 밖이라고 할 수 있다(그것에 손을 뻗칠 수 있는 이는 어떤 팔을 가진 걸까). 꾸중에 눈이 멀기도, 부스럭거리며 무수한 잠정에서 빛을 골라내기도 한 그는 모순 없는 슬픔을 외웠다. 중얼거림의 반은 그것이었고, 나머지는 이름 없는 대양에 덩그러니 표류한 부표에 대한 묘사였다. 수중에 굴러들어 온 파도에 폭은 없었다. 넉넉히 준비해 둔 상냥함이 어두운 집에서 더듬더듬 세면대를 찾아가는 투로 줄어들 때 언짢은 바탕에 먹구름 나비가 날아든다.
직성이 풀릴 때가 되면 꼭 가마. 굴하지 않고 허물없이 굴었던 너만치 나 또한. 손바닥을 뒤집었다. 아무리 억센 팔자라고 해도 그것이 반토막 나지는 않을 것이다. 절반의 반절. 혹은 그 절반의 반절.
해를 거듭하는 눈동자 위에 맺힌 상은 이젠 아무도 찾지 않는, 진귀함을 잃어버린 물질이었고, 그것의 주된 인상은 오래된 역사에 비치된 새로움이었다. 그곳은 전에 없던 자판기나 의자, 부랑자로 이루어진다. 발 뻗고 꾸는 꿈은 의식을 옹골차게 하지. 바람이 드나들 미세한 구멍까지 메우려면 제법 긴 밤이 필요할 터. 그것이 끈질기기까지 하다면 한두 번 뒤로 물린 셈쯤에 속아도 보화. 험상궂어 보여. 일상을 향해 거친 이의 다부진 체격을 던지는 것. 처음 보는 사람과 인사했다. 최대한 줄인 소리에 말씨를 감추었다. “터무니없는 근황을 빚던 이의 표정은 바닥에 닿았다죠. 그의 포름은 참 딱하게 되었습니다.” 침침한 불빛, 방 안으로 한정된 환경이 침잠한다.

턱끝까지. 무슨 일이 됐든 거기까지. 서럽던 평화에 서린 안개는 흘렀다. 여름날 마룻바닥에 방치된 컵이 방금 전까지 머물던 장소를 증명하는 것처럼. 이는 나름의 물줄기일 터다. 필사적으로 폭포수를 면한 것이 실수로라도 절벽을 떠올릴 리 없듯 한 사람의 부재는 완전하다. 그것의 영원을 일단 일념 안에 담고, 그 단독의 용기가 닳도록 노려볼 터다. 허무를 깨는 버릇이 아직 남아있는 현실, 못 알아먹는 말귀, 이 둘을 향해 쏟아지는 변두리의 가로등. 먼 길 떠난다. 끌어안은 건 책임이라고 생각되는 무엇이다.
참가자가 본인뿐인 경기에서 동반 실격을 외쳤다. 묻는 말엔 항상 눈이 부시다, 답하고 사람이라는 도리로서 인간을 논하기도 하였다. 마른 바깥과 도리어 젖은 눈이 피로와 상접할 대상 찾기에 적합한 환경과 도구로 문 앞에 놓였다.
서툴던 걔는 어디로 간다니. 시간에 휩싸이면서도 나는 그것을 썼다. 아무리 번화한 소모라도 그곳에 뒤안길은 없었다. 지독한 일이었다. 품에 독주, 허리춤에 낡은 상상. 그 둘뿐인 여정은 필히 수기로밖에 기록되지 못할 터. 손끝에서 비롯된 언어가 얼어붙은 온기를 밟고 미끄러지며 번쩍인다. 걸을 때마다 발에 볏섬 – 다분히 심층적인 면이 있는 – 이 차였다. 속이 빈 탓에 볏섬은 잠깐만이라도 하늘을 날았다. 임시적 동맹만큼이나 임시적인 비행이었다고 생각한다. 행진에서 따온 걸음이 심경 복잡한 눈요깃거리가 되었다. 이젠 못 견디겠다, 싶어 터져 나온 박수갈채를 들먹이며 헐거운 들에 풀을 먹인다. 사물은 대상으로 정체한다. 그와 동시에 저 앞에서 낯익은 풍경을 걷으며 한 존재가 모습을 드러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