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시명 물의 표면: 그 깊이를 찾는 방식
- 기간 2025.11.26(수) – 12.7(일) (12.1 휴관)
- 장소 인천아트플랫폼 G3
- 위치 인천광역시 중구 제물량로218번길 3
- 시간 13:00 – 18:00
- 후원 인천광역시, (재)인천문화재단
전희경의 개인전 《물의 표면: 그 깊이를 찾는 방식》은 바다의 수면을 하나의 좌표축, 말 그대로 ‘0’의 선으로 삼는다. 작가는 그 선 위에 서 있는 현재의 ‘나’에서 출발해, 수면 아래로, 기억 아래로, 정서 아래로 내려가며 깊이를 재보려 한다. 유년기 수영 선수 시절, 바닷물에 빠졌던 기억, 그리고 2023·2025년에 제주에서 경험한 프리다이빙이 몸 안에 축적한 ‘물의 감각’은 이 전시에서 감정과 이미지, 시간과 공간을 관통하는 통로로 작동한다. 관람객은 수면 위에 떠 있는 사람이 아니라, 화면을 따라 서서히 잠수하는 사람의 시선으로 전시장에 들어가게 된다.
수면 아래로 내려가는 회화들: 전시 구조와 주요 작품

〈불맞춤 Linked with you〉
분무기와 물의 번짐으로 구성된 대형 회화·설치 작업. ‘불을 맞춰 신호를 주고받는다’는 의미처럼, 바다 아래·땅 아래·과거의 장소와 지금의 자신을 연결하는 매개로 사용된다. 붓질 대신 물의 흐름과 천의 건조 속도가 화면을 이끌며, 바닷속 몸짓의 감각이 회화로 치환된다.

〈물장구-발차기 The Kick Beneath Water〉
아래로 잠수하려는 의지와 부력에 의해 떠오르는 몸 사이의 긴장을 추상적 터치로 표현한 대형 회화. 곡선의 터치와 수직·수평의 구조가 겹치며 깊이의 리듬을 만들고, 다양한 톤의 블루가 물속의 감각—집중, 침묵, 미세한 떨림—을 드러낸다.

〈기준축 Axis of Self〉
시간과 깊이를 재기 위한 기준점이 ‘나’라는 사실에서 출발한 자화상적 회화. 표면에 물감이 쉽게 스며들지 않도록 처리한 뒤, 물감이 스스로 뭉치고 번지는 패턴을 통해 ‘내면으로의 잠수’를 시각화한다.

〈심연의 끝자락 Verge of the Deep〉
끝내 닿지 못하는 심연에 대한 사유를 담은 작품. 어두운 바다 바닥에서 안쪽의 미묘한 밝음을 바라보는 거리감이 핵심이며, 절제된 푸른 터치와 흐르는 선들이 조용한 심연의 호흡을 만든다.
물의 감각, 회화의 깊이

작가는 물속에서의 집중, 숨의 압박, 돌을 만지는 촉감, 수면으로 끌어올려지는 상반된 힘 등 개인적 감정과 기억을 회화적 언어로 전환해왔다. 이번 전시는 그 경험을 기준축 아래의 세계(내면, 과거, 감정의 바닥)로 확장하는 시도다.
바다는 작가에게 단순한 풍경이 아니라 ‘내부의 깊이’를 비추는 거울이며, 회화는 그 깊이로 잠수하는 방식이 된다. 관람객은 전시장 외부의 물결무늬 수면을 거쳐 전시 공간을 걸으며 서서히 심연으로 내려가는 감각적 경로를 체험하게 된다.
본 전시는 인천광역시와 (재)인천문화재단의 후원을 받아 ‘2025 인천문화재단 예술창작지원사업’에 선정되어 개최된다.
자료 제공 전희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