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치는 대신, 말하는 법

가벼운 경기 하나로 시작된 일이 엉뚱하게 끝난 적 있나? 친구들과 친목을 다지는 테니스 게임 중 누군가 점수를 놓쳤을 때, 라켓을 던지고 불같이 화를 낸다. 돌아오는 길 차 안에서도 “내가 맞힐 수 있었는데 네가 방해했어”라는 핑계만 늘어놓는다. 이 상황이 익숙하다면, 공격적인 대화를 접해본 경험이 있을 거다. 어쩌면 당신이 그런 대화를 하는 사람일지도 모르겠다.

공격적인 대화, 그건 대화가 아니다

공격적인 대화는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를 누르고 자신의 뜻을 강하게 주장하려는 태도를 뜻한다. 심리학자 데이비드 차올은 “자신의 욕구나 의견을 타인에게 강요하고, 그들이 느끼는 불편함은 무시한 채 말하는 태도”라고 말한다. 이 방식은 결국 상대방의 감정이나 생각을 고려하지 않으며, 관계에 불필요한 긴장만 낳는다.

소통 스타일 4가지, 어디에 속하나?

대화 방식은 크게 4가지로 나뉜다: 공격적, 수동적, 수동-공격적, 그리고 주도적(Assertive)이다. 이 중 공격적인 대화는 의도적으로 상대를 압박하거나 억누르려는 경향이 강하다. 반면, 주도적인 대화는 자신의 생각을 분명히 표현하면서도 상대방의 의견을 존중하는 태도를 유지한다. 즉, 이기기 위한 대화가 아니라 상호 존중하는 대화다. 이 둘의 차이는 크다. 공격적인 대화는 상대를 제압하지만, 주도적인 대화는 문제를 해결하며 양쪽 모두의 필요를 충족시킨다.

공격적인 대화, 이렇게 나타난다

공격적인 대화의 신호는 여러 가지가 있다. 목소리를 높이거나 비꼬는 말투, 상대방을 깎아내리려는 욕설, 끊임없이 말 끼어들기, 위협적인 몸짓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모두 상대방을 불안하게 만들며, 감정적 연결을 차단한다.

공격적인 대화가 관계에 미치는 영향

이런 대화 방식은 상대방의 신뢰를 깎아내리고, 감정적 유대감도 약화시킨다. 결국 대화는 단절되고, 상대방은 더 이상 당신과 소통하려 하지 않는다. 감정적으로 끊어진 관계는 자연스럽게 멀어진다.

더 주도적으로 말하는 법

공격적인 대화에서 벗어나려면 우선 자신을 돌아봐야 한다. 감정이 고조되었을 때, 한 발 물러나서 상황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연습을 해야 한다. ‘너’ 대신 ‘나’로 시작하는 문장을 사용해보자. “너는 항상 그러잖아” 대신 “내가 이럴 때 불편함을 느껴” 같은 식으로 말이다. 구체적인 문제와 그에 대한 해결책을 함께 제시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점심 시간에 날 놀리는 발언이 너무 불편했어. 다시는 그런 농담이 나오지 않았으면 좋겠어.” 이렇게 하면 공격적인 어투 없이도 자신의 감정을 분명히 전달할 수 있다.

전문가의 팁: DEAR MAN과 GIVE

공격적인 대화 습관을 고치기 위해서는 심리학적 기법을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DEAR MAN 기법은 대화를 더 주도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게 도와주는 도구다. 상황을 설명하고, 감정을 표현하며, 필요한 부분을 요구하고, 긍정적인 결과를 강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GIVE 기법을 통해 상대방의 감정과 시선을 존중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다.

DEAR MAN 기법
  1. 상황을 판단 없이 설명하기 (Describe)
    예: “어제 마감일을 지키지 못했어.”
  2. 자신의 생각과 감정 표현하기 (Express)
    예: “그게 일정에 영향을 미쳐서 답답함을 느껴.”
  3. 자신의 요구를 명확하게 주장하기 (Assert)
    예: “일정에 맞추기 위해 앞으로 마감일을 지켜줬으면 해.”
  4. 원하는 결과를 얻었을 때의 긍정적인 효과 강조하기 (Reinforce)
    예: “마감일을 지키면 팀이 더 성공할 수 있고 스트레스도 줄어들 거야.”
  5. 목표에 집중하고 산만함을 피하기 (Mindfully focus on your goals)
    자신의 목표를 잊지 않고, 불필요한 감정이나 논쟁에서 벗어나야 함.
  6. 자신감 있는 어조와 바디 랭귀지를 유지하기 (Appear confident)
    목소리와 몸짓에서 자신감을 표현하며 상대방에게 확신을 주어야 함.
  7. 협상하고 양보할 의지 갖기 (Negotiate)
    서로의 의견을 조율할 수 있도록 열린 마음으로 대화에 임해야 함.
GIVE 기법
  1. 부드럽게 대응하기 (Gentle)
    공격하거나 위협하는 대신, 차분하고 중립적인 반응을 유지하며 대화를 이어가기.
  2. 상대방의 관점에 관심 가지기 (Interested)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려는 태도로 대화에 임하기.
  3. 상대방의 감정과 견해 인정하기 (Validate)
    상대방이 느끼는 감정과 의견을 존중하고 인정하기.
  4. 편안한 태도 유지하기 (Easy manner)
    대화를 가볍고 편안한 분위기로 이끌어가기.

결론

공격적인 대화는 관계를 망가뜨리기 쉽다. 하지만 조금만 더 주도적으로, 상대방을 존중하는 태도로 접근하면 더 깊은 대화를 나눌 수 있다. 결국, 소리치기보다 말하는 법을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


인사이트

결국, 대화의 승자는 소리를 지르지 않는다.

Artlamp
Artlamp

아트램프(ARTLAMP)는 예술을 통해 라이프스타일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는 아트 플랫폼입니다.